티스토리 뷰

반응형

 

 

 

소건막류 원인

한국인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원인은 대부분 바닥에 앉아 식사를 하거나 TV를 보는 등 다양한 좌식 생활로 딱딱한 바닥에 양반다리로 앉다 보면 새끼발가락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면서 휘어지게 됩니다.

볼이 좁은 신발 신거나, 양반다리 자세를 함으로써 발의 외측부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가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5족지의 내반변형, 5중족골의 회내변형이 동반된 무지외반증이 있어서 해부학적으로 돌출된 부분에 과도한 압력 및 마찰이 원인이 되기도 하고, 태생적으로 볼이 넓은 발 모양을 가진 경우에도 소건막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 류마티스성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소건막류 증상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흔하며 제5중족 골 외측으로 통증, 부종, 빨갛게 붓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볼이 좁은 신발을 신을 때 심해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굳은살, 점액낭염이 생겨 증상이 악화되기도 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궤양 및 감염으로 진행하여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습니다.

건막류는 엄지발가락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발가락을 완전히 구부리거나 구부리기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제한된 운동 범위는 걷기 및 기타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건막류는 심각도가 다양할 수 있으며 건막류가 있는 모든 사람이 이러한 증상을 모두 경험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일부 개인에게는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불편함만 유발하는 건막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건막류가 의심되거나 발 통증이 있는 경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권장 사항을 위해 의료 전문가 또는 발병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 개입은 건막류의 진행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소건막류 치료

변형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보전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합니다.

비수술적 치료치료 방법으로는 신발을 선택할 때 하이힐, 앞이 뾰족한 구두는 피하고, 신발 앞부분의 폭이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발가락 사이에 실리콘 패드 등을 끼워서 일시적으로 변형을 교정시킨 상태로 생활하며 변형된 발 모양에 맞게 신발을 교정해서 신는 것도 좋습니다. 염증이 있는 부위에는 패드를 대고, 굳은 살이 생긴 부위는 굳은살을 깎아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다른 족부 변형과 동반된 경우에는 맞춤형 보조기를 착용할 수도 있다. 점액낭염이 동반된 급성 통증에 대해서는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과도한 체중은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키고 건막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균형 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면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고 건막류의 불편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서 있거나 걷는 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이는 것이 좋지만, 여의치 않다면 틈틈이 신발을 벗어 마사지를 진행하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이미 진행된 새끼발가락 휨 자체를 원래대로 되돌릴 수는 없으며, 변형으로 인해 발생한 증상을 완하시크는 목적으로만 이용됩니다. 그래도 새끼발가락이 유난히 돌출이 심하고 자극이 계속 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의 목적은 발의 폭과 외측의 골 돌출부를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수술방법으로는 제5중족골두 외측 절제술, 원위 중족골 절골술, 골간부 사형 절골술, 근위 중족골 절골술, 5중족골두 절제술 등 다양합니다. 변형의 위치와 정도, 굳은살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1형 중족골 교정술은 외측 돌출과 변형각도가 심하지 않으면 튀어나올 골두만 제거해 골두 크기를 줄여줍니다.

2형 원위 교정술은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변형각도가 심화되는 단계로 돌출된 뼈에 실금을 내어 1자로 정렬을 맞춥니다.

근위 교정술은 외측으로 심한 돌출 4/5간 이 큰 경우 절골술을 시행하여 각을 감소시켜 줍니다..

수술 후 유연성을 향상하고 발의 뻣뻣함을 줄이기 위해 발가락, 발목, 종아리에 대한 부드러운 스트레칭 운동시행하고 발과 발목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은 관절을 안정시키고 전반적인 발 기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